반응형
변수에 담기는 값과 그 주소를 따로 본다면 포인터 이해가 쉬울 것이다.
상속인 함수는 그냥 쓰고 전역 함수는 ::를 쓴다.
struct는 구조체, typedef X 별명은 '별명'으로 부르겠다는 것이다.
endif, ifdef
게임에디터는 다이알로그 형식의 어플이다.
CWnd 클래스의 UpdateData() 메소드는 에디트 컨트롤에 입력된 값과 변수에 값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구조체인지 클래스인지 함수인지 자료형인지 매크로인지 해당 단어앞에 커서를 두고 F 12를 누른다.
매크로에는 ;가 붙지 않는다.
callback
변수에 담기에 몸집이 클 때 그 주소를 가져 오는 것이다.
~
캐스트=형태 변환ex)float a; (int)a;
반응형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퍼링의 종류 제한하기 (0) | 2021.04.27 |
---|---|
문자열과 파일 입출력 (0) | 2021.04.27 |
무제 5 (0) | 2021.04.10 |
무제 4 (0) | 2021.03.13 |
무제 2 (0) | 2021.02.10 |
무제 (0) | 2021.02.08 |
음악공부) 조 = 키(key) (1) | 2021.02.04 |
gotta는 have to와 의미가 같다. (0) | 2018.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