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한 테더링이란 핫스팟이나 테더링으로 소모되는 데이터를 스마트폰이 쓰는 것으로 인식시키는 방법입니다

안드로이드12에서 13으로 가면서 apn유형저장이 불가능해졌는데 ADB를 이용하면 APN 설정이 가능합니다

1.휴대폰 유심을 뺍니다
2.휴대폰 개발자 디버그모드를 켭니다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소프트웨어 정보 -> 빌드번호 를 연타하면 '개발자 옵션'이 활성화됩니다.
설정 -> 개발자 옵션 -> usb 디버깅을 켭니다
3.usb케이블로 휴대폰과 컴퓨터를 연결합니다
4.컴퓨터에 ADB를 설치합니다 Download Minimal ADB and Fastboot Tool 또는

Minimal_ADB_Fastboot_v1.4
0.98MB

 5.설치한 adb(바탕화면에 Minimal ADB and Fastboot)를 실행합니다

여기서 다음명령어를 입력합니다

adb shell am start -a android.intent.action.INSERT content://telephony/carriers --ei simId -1

SKT APN
APN: lte.sktelecom.com
Port: 9093
MCC: 450
MNC: 05
APN 유형: default,supl,dun (점이 아니라 콤마를 찍으셔야 합니다)
APN 프로토콜: IPv4/IPv6
APN 로밍 프로토콜: IPv4/IPv6

KT APN
APN: tethering.ktfwing.com
Port: 9093
MCC: 450
MNC: 8
APN 유형: nodun
APN 프로토콜: IPv4/IPv6
APN 로밍 프로토콜: IPv4/IPv6

LG U+ APN 
APN: internet.lguplus.co.kr
Port: 9084
MCC: 450
MNC: 06
APN 유형: default,supl,dun
APN 프로토콜: IPv4/IPv6
APN 로밍 프로토콜: IPv4/IPv6

이후 다시 유심을 꼽아 설정 -> 연결 -> 모바일 네트워크 -> 액세스 포인트 이름 에서 방금 만드신 것으로 선택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

수동으로 액세스 포인트 를 저장하기 여의치 않으면 ADB에서 바로 APN푸시저장명령을 하여 엑세스 포인트 를 만듭니다

skt의 경우

adb shell content insert --uri content://telephony/carriers --bind name:s:"APN" --bind numeric:s:"45005" --bind mcc:s:"450" --bind mnc:s:"05" --bind apn:s:"lte.sktelecom.com" --bind type:s:"default,supl,dun" --bind protocol:s:"IPV4V6"

kt의 경우

adb shell content insert --uri content://telephony/carriers --bind name:s:"KT5G01" --bind numeric:s:"45008" --bind mcc:s:"450" --bind mnc:s:"08" --bind apn:s:"internet" --bind type:s:"default,supl,dun" --bind protocol:s:"IPV4V6" --bind authtype:s:"0" --bind current:s:"1" --bind mtu:s:"1450" --bind skip_464xlat:s:"0"

lg uplus의 경우

adb shell content insert --uri content://telephony/carriers --bind name:s:"APN" --bind numeric:s:"45006" --bind mcc:s:"450" --bind mnc:s:"06" --bind apn:s:"internet.lguplus.co.kr" --bind type:s:"default,supl,rcs,dun" --bind protocol:s:"IPV4V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