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을 찌푸리면 잘 보이는 이유 생활의 정보 2009. 4. 2. 22:49
반응형
눈의 초점심도가 얕아지기 때문입니다. |
이의제기 (1) | 신고 |
빛이 렌즈를 통과할 때 굴절이 일어나게 되는데 볼록렌즈를 통과한 빛은 한 점에 모이며 이점을 초점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빛에 대한 렌즈의 굴절 정도를 굴절율이라 하며 디옵터(diopter)(D)로 표시합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평행으로 들어온 빛이 렌즈를 통과하여 1m 후방에 초점이 맺는 경우 이 렌즈의 굴절율을 1D라하며 10 Cm가 초점거리인 렌즈는 10D의 굴절율을 가지게 됩니다.. 참고로 우리 눈은 각막, 앞방, 수정체, 유리체를 모두 합하면 59D의 굴절율 가지고 초점거리가 17mm인 아주 볼록한 렌즈에 해당이 됩니다.![]() ![]() 그림 1에서 초점거리가 다른, 1D와 2D의 굴절율을 가진 2개의 렌즈를 비교해보자. 초점이 정확하게 맞지 않더라도 어느 정도 사물을 판단 할 수 있는 가시범위가 1D 렌즈에서 더 넓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1D 렌즈는 정확한 초점거리에서 다소 벗어나더라도 잘 볼 수 있게됩니다. 이것을 초점심도가 얕다고 합니다. 반대로 2D 렌즈는 초점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잘 볼 수 없는데 이것을 초점심도가 깊다고 합니다. 그림 2에서 동일한 렌즈를 가지고, 조리개로 빛이 들어오는 면적을 좁혀보면 조리개가 좁혀진 경우가 초점심도가 얕아서 더 잘 보이게 됩니다. 물건이 잘 안보일 때 사람들은 눈을 찡그리곤 하는데 눈을 찡그려서 빛이 들어오는 구멍을 작게 해 주면 초점심도가 얕아져서 잘 보이게되는 것입니다. <출처> http://minhyang.hihome.com/4-01.html |
반응형
'생활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세 누진제의 진실 (0) | 2009.04.02 |
---|---|
자동차 주행시 기름 절약하는 에어컨 사용법 (0) | 2009.04.02 |
당신의 콘텍트렌즈, 안전하게 착용하시나요?…심하면 ’실명’ 위험 (0) | 2009.04.02 |
뇌는 쉴 수록 좋아집니다. (0) | 2009.04.02 |
활성산소 (0) | 2009.04.02 |
진드기 없애기 (0) | 2009.04.02 |
컴퓨터를 오래하면 눈이 나빠지나요? (0) | 2009.04.02 |
걷기운동, 제대로 걸어야 살빠진다! (0) | 2009.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