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간이 살아가면서 체세포의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나더라도, 이러한 변이는 대부분 생식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우리 몸은 크게 체세포와 생식세포로 나뉩니다.
* 체세포: 몸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 (피부 세포, 근육 세포, 뇌 세포 등)
* 생식세포: 정자와 난자
우리가 살아가면서 흡연, 자외선, 방사선 등의 환경적 요인이나 세포 분열 과정의 오류 등으로 인해 체세포의 DNA에 변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체세포 돌연변이는 해당 세포나 그 자손 세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암과 같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체세포 돌연변이는 일반적으로 생식세포의 DNA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생식세포는 초기 배아 발생 단계에서 특정 세포 계열로 분리되어 발생하며, 체세포에서 일어난 유전자 변이가 생식세포로 전달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살면서 겪는 후천적인 변화나 체세포 유전자 변이는 자녀에게 유전되지 않는 것입니다. 유전되는 것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생식세포의 유전자 정보입니다.
물론 아주 드물게 예외적인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인 원칙은 체세포의 유전자 변이는 유전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반응형

'생명 그 영원한 신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명 그영원한 신비 1편  (0) 2011.12.14
생명 그 영원한 신비 1  (0) 2010.06.28